- How to send RCS messages from your iPhone to your Android user friends
- I replaced my Kindle with an E Ink tablet that runs on Android - and don't regret it
- This rugged smartphone has a highly-functional feature that made my iPhone look bad
- 5 ways to manage your team more effectively in the AI-enabled enterprise
- How the Sound Burger curbed my vinyl craving with a game-changing audio feature
도장 찍은 이후가 중요··· IT 공급업체 ‘관계 관리’의 9가지 원칙

새로운 관계의 경우, 더 높은 수준에서 더 자주 소통해야 할 가능성이 높다. 소통 리듬을 설정함에 있어 이러한 체크인의 시기와 특성을 명확하게 설명해야 한다. 컨퍼런스 콜, 공식적인 검토, 팀 회의 등이 모두 소통 일정에 포함되어야 모든 사람이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효과적인 소통은 생산성을 최대 25%까지 높일 수 있다.
5. 관계 관리 프로그램 개발
관계 관리 프로그램은 공급업체의 협력을 끌어내는 데 중요하다. 여기에는 합의된 KPI와 원하는 결과를 바탕으로 공급업체의 성과를 측정하는 프로그램, 파트너십 비용이 한도 내에서 유지되도록 관계 관리의 일부로 예산을 책정하는 프로그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관계의 중요 요소를 관리 시스템에 통합하여 더 나은 책임과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핵심이다.
6. 공식적 관계 모니터링
모든 공급업체 관계에서 공식적인 연례 모니터링은 필수적이다. 어떤 회사들은 분기별로 건전성을 검진하기도 한. 이러한 건전성 검진은 성과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관계 전체를 살펴보는 것이어야 한다. 가령 의사소통의 효율성, 양측의 만족도, 신뢰와 호환성 측정 등이 포함될 수 있다.